본문 바로가기
HEALTH/건강 솔루션

기름 종류와 지방 종류의 모든 것! 식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트랜스지방

by Editor7021 2025. 4. 23.
반응형

 

요리 기름 이미지출처 iStock

 

 

 

기름에도 성격이 있다! 식물성, 동물성, 지방 종류부터 알아보기

 

기름이라고 다 같은 기름이 아니에요. 기름은 크게 보면 어디서 나왔는지에 따라 그리고 어떤 지방이 들어있는지에 따라 성질이 완전히 달라져요. 이걸 이해해야 진짜 좋은 기름, 나쁜 기름 구별할 수 있어요.

 

 

 

1. 식물성 기름 vs 동물성 기름

식물성 기름: 식물의 씨앗, 열매에서 짜낸 기름

 

예)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오일, 포도씨유, 콩기름, 아보카도유, 카놀라유

 

 

동물성 기름: 동물의 지방에서 얻은 기름

 

예) 라드유(돼지기름), 소기름, 버터, 생크림 등

 

 

👉 예전에는 식물성 = 건강, 동물성 = 나쁨 이렇게 나눴지만, 지금은 오히려 가공 여부, 산화 안정성, 지방 구성이 더 중요해요!

 

 

 

2. 지방의 종류, 아주 쉽게 구분해볼게요

✅ 포화지방

 

구조가 안정적이라 산화에 강함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음 (예: 돼지기름, 버터)

 

많이 먹으면 혈중 콜레스테롤에 영향 준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선 적당량은 오히려 건강 유지에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아요

 

 

 

✅ 불포화지방

 

구조가 유연해서 실온에 액체 상태

 

다시 두 가지로 나뉘어요

 

→ 단일불포화지방산: 올리브오일, 아보카도유

 

→ 다불포화지방산: 들기름, 포도씨유, 식용유

 

산화에 취약한 기름이 많아서 보관, 조리법이 중요해요

 

 

 

❌ 트랜스지방

 

인공적으로 만든 지방

 

액체 기름을 고체처럼 만들기 위해 수소를 넣어 만든 것

 

마가린, 쇼트닝, 일부 가공식품에 들어 있고, 혈관 건강에 아주 해로움 → 최대한 피해야 할 기름

 

 

 

요약하자면?

구분 예시 특징 건강 영향
식물성 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대부분 불포화지방 종류에 따라 건강에 도움
동물성 기름 라드유, 버터 대부분 포화지방 적당량은 문제 없음
포화지방 버터, 라드 고체, 산화 안정 과다 섭취는 주의
불포화지방 올리브유, 들기름 액체, 산화에 약함 항염, 콜레스테롤 조절
트랜스지방 마가린, 쇼트닝 인공 지방 무조건 피해야 함

 

 

 

 

반응형